반응형
84. 다음 보기의 사례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인천광역시 OO중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A군은 부모가 이혼한 상태이다. A군은 어머니와 함께 살고 있으며, 보통 주말이나 방학을 이용하여 아버지와 지내고 있다. A군은 아버지의 말을 잘 따르는 편이고, 자신도 아버지와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을 좋아한다. 그런데 A군은 수업시간에 주의가 산만하고 과제를 제대로 수행하지 않으며, 종종 짜증이 보이는 모습을 보인다. A군에 대한 웩슬러지능검사 결과 언어성 IQ는 114, 동적성 IQ는 134, 전체 IQ는 126을 나타낸다. 특이한 것은 산수에서 7점, 숫자에서 11점으로 다른 하위검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받았다. |
보기의 내용에서 A군의 지능검사 결과 및 신상정보로 유추가능한 해석을 제시하시오.
- A군은 지능검사 결과 전체 IQ가 126이므로 우수의 범위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언어성 IQ와 동작성 IQ의 차이가 15점 이상인 경우 임상적 · 신경학적 측면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간주되며, 특히 그 차이가 20점 이상인 경우 뇌손상이나 정신장애를 의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언어성 IQ가 동작성 IQ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청각적-언어적 정보처리능력 언어능력 및 읽기 능력 등에서 저조한 수행 능력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자폐증, 학습장애,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품행장애나 반사회성성격장애 등에서 비롯된 것일 수 있다.
- A군이 주의가 산만하고 과제를 제대로 수행하지 않으며, 종종 짜증을 부리는 모습을 보인다는 것 그리고 웩슬러지능검사의 소검사 중 산수와 숫자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인다는 점은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ADHD)를 시시한다. 특히 ADHD 증상들은 웩슬러지능검사의 소검사 중 주의산 만성 요인과 연관된 산수, 숫자, 기호 쓰기 등에서 저조한 수행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85. MMPI-2에서 재구성 임상척도를 개발하게 된 이유를 설명하시오.
- 원판 MMPI의 임상척도들을 제작할 때 경험적인 방식으로 문항들을 구성하였으므로, 같은 임상척도에 포함된 문항들의 내용이 상당히 이질적인 면이 있는 반면, 임상척도들 간의 상관도 높고 서로 독립적이지 않은 면도 있었다.
- 원판 MMPI는 임상척도 점수에 핵심적 구성개념과 관련된 특성이 얼마나 반영되었는지 공통적인 정서적 고통으로부터 비롯된 변량이 얼마나 반영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기 어려웠다.
- MMPI-2에 포함된 재구성 임상척도는 기본 임상척도의 중요한 기술적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그동안 임상척도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어 왔던 해석상의 모호함을 감소시키고 변별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86. MMPI-2의 재구성 임상척도 중 다른 사람들이 믿을만하지 못하고, 남을 배려하지 않고 자신만 생각하며 착취적이라고 생각하는 경우 상승하는 척도를 쓰시오.
RC3 – 냉소적 태도
87. 정신사회재활에서 재활계획을 위한 4단계를 쓰시오.
- 재활목표의 설정
- 기술 및 자원의 우선순위 결정
- 목표달성 기간의 설정
- 목표달성을 위한 협력적 내용 및 치료방법의 결정
88. 다음 보기의 신경심리검사들이 평가하는 인지기능 영역을 쓰시오.
Contrasting Program / Go-No-Go Test / Fist-Eage-Palm / Alternating Hand Movement Alternating Square and Triangle / Luria Loop / Controlled Oral Word Association Test(COWAT) / Korean-Color Word Stroop Test(K-CWST) |
전두엽 집행기능 혹은 전두엽 실행기능
89.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심리치료와 구분되는 아동심리치료의 특징을 5가지 기술하시오.
- 아동 내담자의 언어발달 및 인지발달을 고려한다.
- 상담 동기부여를 위한 상담초기 관계형성이 중시된다.
- 치료과정에 놀이 등 아동 내담자와의 문제 공유를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활용된다.
- 아동 내담자의 전인적 발달을 위한 통합적 접근이 요구된다.
- 아동 내담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부모, 교사 등의 협조와 참여가 요구된다.
90. 다음은 상담장면에서 상담자가 내담자에 대한 비밀보장을 할 수 없는 예외적인 경우에 해당한다.
각각의 질문에 답하시오.
1) 상담자는 내담자가 스스로 자살할 계획을 가지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에 대한 대처방법을 3가지
쓰시오
- 내담자의 가족이나 가까운 사람에게 알린다.
- 내담자로 하여금 혼자 있지 못하게 하며, 자살을 시도할 수 있는 위험한 물건이 놓인 상황에 가까이 있지 않게 한다.
- 정신건가의학과 전문의를 포함한 자살 예방 전문가를 만나게 한다.
2) 상담자는 내담자가 타인을 살해할 계획을 가지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에 대한 대처방법을 3가지
쓰시오.
- 내담자에게 비밀보호의 의무가 불이행되는 상황에 대해 재차 인식시킨다.
- 내담자의 위험성을 진단하며, 잠재적 피해자 및 그 가족에게 그와 같은 사실을 알린다.
- 해당 분야의 전문가나 관련 기관에 의뢰하여 적절한 도움을 받도록 한다.
91. DSM-5 진단기준에 따른 특정공포증의 하위유형을 3가지만 쓰고, 각각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시오.
- 상황형 : 비행기, 엘리베이터, 밀폐된 장소 등 폐쇄된 공간에 대해 공포감을 느낀다.
- 자연환경형 : 고공(높은 장소), 폭풍, 물 등 자연환경에 대해 공포감을 느낀다.
- 혈액-주사-상처형 : 바늘, 침습적인 의학적 시술 등 피를 보거나 주사를 맞는 것에 대해 공포감을 느낀다.
- 동물형 : 거미, 곤충, 개 등 동물이나 곤충에 대해 공포감을 느낀다.
92.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내용이 공통적으로 어떤 가족치료 이론에 관한 것인지를 쓰시오.
• 헤일리(Haley)가 제안한 가족치료모델이다. • 인간행동의 원인보다는 문제행동의 변화를 위한 해결방법에 초점을 둔다. • 목표설정에 있어서 가족이 호소하는 문제를 포함하며, 가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모색한다. • 단기치료에 해당하며, 증상처방 등 역설적 방법을 활용한다. |
전략적 가족치료
반응형